오늘 HMM의 주가가 -8.42% 하락하였습니다. 최근 HMM 주가는 하락 또는 지속적으로 횡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주가 하락 이유와 향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MM 주가하락 이유
(1) 공급과잉 우려
유래 없는 컨테이너 초호황으로 작년 말 전체 선복량의 9.6% 수준에 불과했던 컨테이너 발주 잔고가 8월 말 기준 21.8% 까지 상승하였습니다.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있느냐, 대부분의 신조 발주가 올해 나온 점을 감안하면 아직은 시기상조입니다. 선박 건조 기간과 주요 선사들의 독 스케줄로 읶해 현재 발주된 선박이 본격적으로 읶도되 는 시점은 2023~2024년. 전체 발주 잒고 중 40.9%에 해당하는 216만 TEU가 2023년 31.6%에 해당하는 167만 TEU가 2024년에 인도될 예정입니다.
(2) 환경규제 강화
IMO의 온실가스 배출 억제 노력의 읷홖으로 2023년부터 현존 선에 대한 기술적 규제읶 에너지 효율지수(EEXI: Energy Efficiency Existing Ship Index)와 운 항적 조치읶 탄소집약도(CII: Carbon Intensity Indicator) 등급제가 2023년 발효될 예정. 현 졲 컨테이너 선박 중 에너지 설계효율지수(EEDI: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를 적용 받지 않은 2013년 이젂 건조된 선박의 비중이 62%에 달하는 상황.
EEDI 적용 선박 중에도 강화된 규정으로 인해 EEXI 만족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어 일부 기관에서는 전체 선박의 80% 이상이 EEXI를 만족하지 못할 것으로 분석. EEXI 기준 미달 시 해당 선박은 엔진 출력 제한 및 에너지 저감장치를 탑재하는 등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 선속 감소와 추가적읶 비용 발생에 따른 경쟁력 저하로 폐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한편, 선박의 탄소 배출 효율에 따라 등급을 구분하는 CII 또한, 폐선을 자 극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3년 연속 D등급 혹은 E등급 1회를 받은 선박의 경우 성능 개선안을 마련하여 승인을 받아야 운항이 가능하며 매년 기준치가 강화되기 때문에 상위 등급 선박들 역시 등급 유지를 위한 추가 조치가 선박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필요합니다.
(3) 파업
HMM 노사는 지난 2일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을 타결하였습니다. 파업 타결로 인한 추가비용은 약 1,200억 원. 이는 21년 당사 추정 매출액 대비 1% 수준이기 때문에 파업으로 가지 않는 이상 기업가치 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4) 영구채 우려
컨테이너 시황의 장기불황과 채권단 자율협약으로 HMM 은 순수한 컨테이너선 사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아 체질개선을 완료하였습니다. 정부 지원 하에 투자 한 16,000 ~ 24,000 TEU급 컨테이너선 20 척을 바탕으로 가입한 해운동맹 ‘THE Alliance’는 네트워크 서비스 개시 15 개월 만에 매출원가율 45% p 개선 효 과로 이어졌기 때문에 영구채 우려보다는 업황 개선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2. 주가 전망
운임 측면에서는 3분기 누적 평균 SCFI가 4,226 포인트를 기록 중으로 당초 당 사 추정치 4,090 포인트를 공히 상회. 1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최근 미주서 안 롱비치와 LA항 내 장기 적체 컨테이너 박스 비중이 26.7%까지 치솟으며 물류 대란이 재차 심화되고 있어 당분간 운임 강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산업측면에서 해운업 구조조정의 결과 컨테이너선사로서 독자 생존한 HMM은 정부지원의 유일 한 대상이 되었으며, 2018년 24,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 16,000 TEU급 컨 테이너선 8척 발주에 성공하였습니다.
24,000 TEU급 컨테이너선은 세계 최대의 컨테이 너 선으로, HMM은 Global 컨테이너선사와 경쟁할 수 있는 경제선(Eco-Ship)을 낮은 조달비용으로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컨테이너 시황 구조적으로 살아나고 있으며 움임이 레벨업되는 부분 제조업 사이클이 개선되는 점에서 향후 HMM의 주가도 긍정적으로 전망됩니다.
HMM에 적정주가 47,000원입니다. 적정 주가는 2022년 예상 PBR 2.4배 수준이며 PER 4.9배 수준이다. 2021~22년 ROE는 77.1%, 59.6%로 추정하며 10년간의 자본잠식에서 완전히 벗어난 후 동 종업계 최고 수익성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PBR 2.4배는 경쟁사인 Maersk, Hapag-Lloyd, Evergreen, YangMing의 2022년 예상 PBR 2.0배에 +20% 할증한 수치이다. 2022년 Global peer 평균 ROE가 32.6%인 점을 감안하면 적정 멀티플이라고 판단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낸시랭 남편 왕진진 이혼 사유 정리 (0) | 2021.10.01 |
---|---|
배우 김유정 기부 초록어린이우산재단 그린노블클럽 회원 (0) | 2021.10.01 |
던킨도너츠 위생논란 회사 사과문 내용 정리 (0) | 2021.09.30 |
부광약품 코로나치료제 임상 중단 주가하락 정리 (0) | 2021.09.30 |
채림 전남편 가오쯔찌 결혼부터 이혼 정리 (0) | 2021.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