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비 걱정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학업장려금을 지원해드립니다. 오늘은 2022년도 고등학생 및 대학생 국가장학금 종류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고등학생 / 대학생 국가 장학금 종류 -
1.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2. 우수고등학생 해외유학 장학금(드림장학금)
3.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 (희망사다리Ⅱ유형)
4. 국가장학금 (1유형, 2 유형, 다자녀)
5. 국가근로장학금
6. 예술체육 비전장학금
7. 인문 100년 장학금
8. 이공계 우수학생 국가장학사업
9. 푸른등대 기부 장학사업
10. 푸른 등대 삼성기부 장학사업
1.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 대상 : 국내 중학교 2, 3학년 및 고교 1, 2, 3학년 재학생 중 역량과 잠재력을 갖춘 저소득층 가정 혹은 긴급구난 사유에 해당하는 학생
- 내용 : 매월 장학금(25~45만 원)을 장학금 카드로 지급하며, 1:1 멘토링, 멘토링 캠프, 진로·진학· 취업컨설팅 등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지원
- 방법 : 재학 중인 학교의 교사(담임교사, 교내 장학 담당교사, 학교복지사 등)를 통해 온라인 신청 (https://eduman.kosaf.go.kr)하여 서류 심사 및 심층평가를 거쳐 최종 선발
- (꿈 장학금) 학교에서 추천한 학생을 대학 졸업 시까지 지원
- (재능장학금) 특화된 재능을 보유한 학생을 대학 졸업시까지 지원
- (SOS 장학금) 긴급한 위기 상황에 처해있는 학생을 한시적으로 지원
2. 우수 고등학생 해외유학 장학금(드림장학금)
장학금 대상
- 국내 고교 2, 3학년 재학자 중 해외대학 입학을 희망하는 저소득층(신청일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성적 우수 학생
- 2023년 2월 또는 2024년 2월 졸업예정자
- 학생 온라인 신청자
- 고교 재학 중 직전학기까지 전체 학기 이수한 국어, 영어, 수학, 과학, 한국사, 사회, 전문교과Ⅱ 과목 중 석차 2등급 이내 또는 성취도(학점) A 이상인 과목의 이수단위 합계가 24 단위(고3)/ 12 단위(고2) 이상
장학금 내용
구분 | 지원내용 |
유학준비생 (국내장학생) |
■ 지원대상 : 신규 장학생으로 선발(서류, 인적성 검사, 면접)된 학생 ■ 지원내역 : 학업장려비 지원(고2 : 월 50만 원, 고3 : 월 70만 원) ■ 지원기간 : 선발 익월부터 고교 졸업 시(2월 말)까지 지원 ■ 지급절차 : 월별 학업보고서 제출 → 학업 보고서 심사 및 승인 → 학생계좌로 개별 지급 |
유학생 (해외장학생) |
■ 지원대상: 유학준비생(국내장학생) 중 해외대학에 최종 합격하여 진학이 결정(예정)된 자 ※ 세계 대학 순위 400위(또는 세계 전공 순위 50위) 등 진학 가능 대학에 최종 합격한 경우 유학생 전환 ■ 지원내역 : 연간 최대 6만 USD(학비+체재비), 항공료 별도 ※ 세부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참고 ■ 지원기간 : 입학 학기부터 졸업시까지 정규학기 내에서 지원 |
장학금 신청방법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신청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장학금> 국가 우수장학금> 우수 고등학생 해외유학 장학금 (드림장학금)
3. 고졸 후학 습자 장학금 (희망사다리Ⅱ유형)
- 대상 : 최종학력이 고졸이며 현재 지원대상 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대학교 재학생
세부요건 | 세부내용 |
지원대상기업 | 중소·중견기업, 대기업, 비영리기관 |
재직경력 | 심사일 기준 2년 이상 재직(단, 중소·중견기업은 1년 이상) |
성적 | 직전학기 성적이 백분위 70점 이상 |
- 우선 지원
- 계속 장학생을 우선 지원하고, 잔여 예산 범위 내에서 신규 장학생 선발
- 신규 장학생의 경우 아래 항목에 따라 총점이 높은 순으로 장학생 선발
- 내용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신청
■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 대학교 등록금 전액 지원
■ 대기업·비영리기관 재직자 : 등록금 50% 지원 ※ (계속 장학생) 수혜 횟수 내에서 졸업까지 계속 지원
※ 매 학기 지원 자격 충족자에 한하여 지원
※ 의무 재직 : 장학금 수혜 후 일정기간 기업에 재직* 의무, 의무 불이행 시 장학금 환수 * 학기별 의무재직 이행기간 내 ‘수혜 학기 x4개월’ 간 재직
4. 국가장학금 (1 유형, 2 유형, 다자녀)
국가장학금 대상
※Ⅰ유형 및 다자녀 장학금은 성적(B0 ) 및 이수학점(직전학기 12학점 이상) 충족 필요
※ 단, 기초·차상위계층은 C0 이상 적용, 학자금 지원 1~3구간은 C학점 경고제 2회 적용, 장애인 학생은 성적기준 없음
국가장학금 지원금액
■ I유형, 다자녀 : 등록금 필수 경비(입학금, 수업료)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등지원 <2022년 학자금 지원 구간별 연간 국가장학금 최대 지원 가능 금액>
■ II유형 : 참여 대학의 자체 선발 기준(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에 따라 장학금 차등 지원
※ 단, 긴급하게 경제사정이 곤란하게 된 자 등 대학이 지원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10구간도 지원 가능
학자금 지원 구간이란? 경제적 여건에 따라 학자금 지원 범위를 다르게 정하기 위해 학생 본인 및 가구원의 소득, 재산(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을 기준으로 산정한 월 소득 인정액에 따라 개인별 지원 구간(1~10구간)을 결정하는 제도입니다.
5. 국가근로장학금
- 대상 : 사업 참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아래의 성적 및 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한 학생
■ (성적) C0 학점(70/100점) 이상
■ (소득) 학자금 지원 구간 8구간 이하
- 내용 : 매월 근로시간당 장학금 지급
■ 시급 단가 : 교내근로 9,160원, 교외근로 1만 1,500원
■ 최대 근로시간 : 1일 8시간, 1주당 20시간(단, 방학 중 40시간), 1학기당 최대 520시간
6. 예술 체육 비전장학금
- 대상 : 국내 4년제 대학의 예술 및 체육계열학과(부) 1,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1학년 ‘전공탐색 (I, II) 유형’과 3학년 ‘전공 확립(I, II) 유형’으로 구분하여 지원 대상 선발
7. 인문 100년 장학금
- 대상 : 국내 4년제 대학의 인문사회계열 학과(부) 1,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1학년 ‘전공탐색 (I, II)유형’과 3학년 ‘전공확립(I, II)유형’으로 구분하여 지원 대상 선발
8. 이공계 우수학생 국가장학사업
대상
- 대통령 과학장학금 : 국내 4년제 대학(자연과학 및 공학계열 학과(부))에 재학 중인 신입생 및 3학년 또는 해외 4년제 대학(자연과학 및 공학계열 학과(부))에 입학 예정 및 확정인 신입생
- 국가 우수장학금(이공계) : 당해 연도 국내 대학(4년제) 자연과학 및 공학계열 입학 예정 (확정) 또는 3학년 재학 중인 자
지원내용
구분 | 대통령과학장학금 | 국가우수장학금 (이공계) |
지원 내용 | ■ 국내장학생 - 장학금(등록금 전액) - - 학업장려비(학기당 250만 원) - 생활비(기초생활수급자 학기당 250만 원) ■ 해외장학생 - 연 5만 USD 내에서 학비, 체재비 지원 |
■ 국내장학생 - 장학금(등록금 전액) - 생활비(기초생활수급자 학기당 250만 원) |
지원 기간 | 장학생 선정 후 최대 4년 지원 (정규 8학기) ※ 5년제 학과 최대 10학기 지원 |
장학생 선정 후 최대 4년 지원 (정규 8학기) ※ 5년제 학과 최대 10학기 지원 ※ 3학년 선발자는 최대 2년 (정규 4학기) 지원 |
계속 지원 기준 |
■ 성적 : 87점 이상/100점 (B+ 수준) ■ 최소 이수학점 : 직전학기 12학점 이상 |
9. 푸른 등대 기부 장학사업
- 대상 : 국내 4년제 및 전문 대학교 재학생 중 기부처별 신청자격을 충족하는 자
- 내용 : 생활비 지원 : 매 학기 신규 장학생 선발
- 방법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신청
- 기부처별 지원금액, 지원기간, 심사기준 등 상이함
※ 전공대, 대학원대, 방송통신대, 원격대, 사이버대, 기능대, 평생교육원 제외
※ 기부처별 선발요건 및 지원은 재단 누리집 푸른 등대 기부장학금 소개화면 참고
10. 푸른등대 삼성기부 장학사업
- 대상 : 국내 4년제 및 전문 대학교 재학생 중 장애인 가정, 새터민(탈북주민) 가정, 가정 외 보호시설 출신, 학생가장, 조손가정, 기초생활/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정, 주거비 지원 필요자, 기타 사회적 배려계층 중 신청자격을 충족하여 대학의 추천을 받은 자
- 내용
■지원금액 : 학기당 150만 원
■ 지원기간 : 2개 학기(휴학, 편입, 자퇴 등 학적변동 시 장학생 자격 상실 및 반환)
■ 계속 지원기준 : 직전 정규학기 백분위 점수 70점 이상
'정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 지원금 정책 종류 2022 (0) | 2022.05.05 |
---|---|
코로나19 정부지원금 정리 (0) | 2022.05.05 |
보육 지원 정책 정리 2022 (0) | 2022.05.04 |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2022 (0) | 2022.05.04 |
임산부 출산 지원정책 정리 2022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