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정보

2022 노후 준비 지원금 정책 정리

by 사회 정책 블로그 2022. 5. 10.

고령화 시대에 맞추어서 노후 준비를 일찍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정부에서도 노후 준비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지원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2 노후 준비 지원금 정책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노후 준비 지원금 정책 - 
1. 기초연금제도
2. 노후 긴급자금 대부 사업
3. 노후준비 서비스
4. 요금감면제도
5. 은퇴금융 아카데미

2022 노후 준비 지원금 및 정책

1. 기초연금제도 

  • 대상 : 만 65세 이상이며,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소득 하위 70%) 이하인 어르신
  • 내용 : 월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 
구분 선정기준액 월 최대 지원 금액
단독가구 부부가구
소득하위 70% 단독가구 180만 원
부부가구 288만 원
월 최대 30만 7,500 월 최대 49만 2,000원
(1인당 최대 24만 6,000원)
  • 방법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or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만 65세 미만이신 분들은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 초일부터 신청 가능

※ 방문이 어려운 경우 국민연금공단의 ‘찾아뵙는 서비스(☎1355)’를 신청 

 

2. 노후 긴급자금 대부 사업 

  • 대상 : 만 60세 이상의 국민연금 수급자
  • 내용 : 전·월세자금, 의료비, 배우자 장제비, 재해복구비의 긴급 생활안정자금을 저금리로 대출(연간 연금수령액의 2배 이내, 최고 1,000만 원까지)
  • 방법 : 수급자 본인이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해 신청

※ 최대 5년 원금균등 분할상환(거치 1~2년 선택, 최장 7년)

 

 

3. 노후준비 서비스

노후준비서비스
노후준비서비스

기존에는 국민연금공단에서만 노후준비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었으나, 2022년 6월 22일 이후에는 국민연금공단과 지자체가 협력하여 더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서비스 저변이 확대됩니다

  • 대상 : 국민연금 가입대상 및 수급권자를 포함한 전 국민
  • 내용 : 노후준비를 위한 재무·건강·여가·대인관계 등 분야별 진단, 상담, 교육, 관계기관 연계 및 사후관리 서비스 제공
  • 방법 : 전국 국민연금공단 지사(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상담 신청

 

4. 요금감면제도 

감면내역 지원대상 지원내용 방법 및 문의
교통비 65세
이상
어르신
■ 철도요금 감면
- 지하철 무료 이용
- KTX·새마을호·무궁화호 30% 감면
    (KTX·새마을호는 토·일, 공휴일 제외)
- 통근열차 50% 감면
이용 시 신분증 제시
(코레일 ☎1544-7788)
■ 항공요금 감면 -대한항공 국내선·국제선 10% 감면 (단, 성수기, 일부노선은 제외) 이용 시 신분증 제시
(대한항공 ☎1588-2001)
■ 국내연안여객선 여객운임 감면
- 여객운임 20% 감면
이용 시 신분증 제시
(한국해운조합 ☎02-6096-2000)
문화 65세 이상 어르신 ■ 고궁, 능원, 국·공립박물관, 국·공립 공원, 국·공립미술관 무료입장
■ 국·공립국악원 입장료 50% 이상 할인
■ 국가·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연장 (대관공연 제외) 입장료 50% 할인
입장 시 신분증 제시
국민
건강
보험료
65세 이상 어르신이 있는 지역가입자 ■ 소득·재산요건 만족 시 최대 30% 할인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70세 이상 어르신만 있는 지역가입자 재산 1억 3,500만 원 이하이며, 소득이 360만 원 이하인 경우 30% 경감
이동통신 통신요금 기초연금
수급자
■ 월 청구된 이용금액의 50% 감면
■ 월 최대 1만 2,100원 감면 (부가가치세 포함)
※ 알뜰폰은 전용 요금제 감면
통신사 대리점에 방문 신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신청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
정부24 (www.gov.kr)로 신청 또는
전용 ARS (휴대전화 ☎1523), 고객센터(휴대전화 ☎114)
※ 알뜰폰은 전용 요금제 감면
각종
공공
요금
노인
복지
시설
■ 도시가스요금 감면 시설에서 신청
(산업통상자원부 ☎1577-0900)
■ 전기요금 감면 시설에서 신청
(한국전력공사 ☎123)
■ 상수도요금, 하수도사용료 감면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환경부 ☎1577-8866)

5. 은퇴금융 아카데미 

  • 대상 : 은퇴준비에 필요한 경제금융지식 및 은퇴생활정보 교육이 필요한 사람
  • 내용 : 자산관리, 은퇴금융상품, 신용·부채관리 등 금융지식과 각종 생활정보 강좌 무료 제공
  • 방법 : 한국 주택금융공사 누리집에서 수강 지역과 일정을 선택해 신청 
  • 교육과정

■ 정규과정 : 4주(주 1회 3시간, 총 8시간)

■ 집중과정 : 2주(주 2회 4시간, 총 8시간 또는 주 4회, 총 1주)

■ 특화과정 : 일대일 상담 서비스 제공 (세무, 법무, 노후재무설계) 정규과정 또는 집중과정 후 추가적으로 진행

■ 찾아가는 은퇴금융 아카데미 : 1~2일(1일 1~2시간, 총 1~4시간)

댓글